10월 황금 추석 연휴 잘 보내고 계신가요? 기나긴 연휴의 마지막 날인 10월 9일은 제571돌 한글날입니다. 대체공휴일과 추석 명절 연휴에 끼어 자칫하면 잊히기 쉬울 수 있는데요, 한국인으로서 절대 잊어서는 안 되는 날이죠!
가뜩이나 요즘 신조어나 SNS상에서 줄임말이나 잘못된 한글 사용으로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죠. 이번 시간에는 한글날을 앞두고 우리 일상생활에서 자주 헷갈리고 잘못 사용하고 있는 맞춤법과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번씩 글을 쓰게 되죠! 특히 컴퓨터나 모바일 등 기기 사용이 많아지면서 키보드 자판에 의존하는 일이 많아졌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판에서 쓰기 편하게 적거나 맞춤법과 달라지는 단어도 생겼죠. 그중에서 비슷한 발음 때문에 헷갈리는 맞춤법이 많은데요, 그 예를 한 번 함께 알아볼까요?
오늘 공부가 (안되 / 안돼).
안되와 안돼, 일상생활에서 정말 많이 헷갈리는 표현인데 어떤 것이 올바른 표기일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안돼’가 맞습니다. ‘안되’는 ‘안되다’의 표현에서 어미가 탈락한 표현이고, ‘되’는 종결어미와 결합해야 하며 단독으로 ‘되’가 쓰일 수 없습니다. ‘안되’로 절대 적을 수 없고 반드시 ‘안 되어’로 활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안되’는 어떤 경우에도 사용하면 안 됩니다.
‘안돼’는 띄어쓰기에 따라 그 쓰임이 달라지기도 하는데요, ‘안돼’라고 붙여서 사용하면 어떤 연유로 순조롭게 흘러가지 않는다는 뜻이고, ‘안 돼’는 불가능함을 뜻하는 말입니다. ‘오늘 공부가 안돼’라고 하면 공부가 원활하지 않는다는 뜻이고, ‘오늘 공부가 안 돼’라고 하면 어떤 이유로든 공부가 불가하다는 뜻으로 사용한다는 것 잊지 마세요!
음식이 너무 맛있어서 (금세 / 금새) 다 비웠다.
‘금방, 빠르게, 지금’ 등의 의미로 사용되는 이 단어, 어떤 것이 올바른 맞춤법일까요? 정답은 ‘금세’입니다. ‘금새’는 물건의 값, 또는 물건값의 비싸고 싼 정도를 뜻하는 말이고, ‘금세’가 ‘지금 바로’의 뜻이 있는 ‘금시에’가 줄어서 만들어진 단어이니 예문의 뜻은 ‘금세’가 바른 뜻입니다.
친구를 참 (오랫만에 / 오랜만에) 만나서 반가웠다.
또 한 번 헷갈리기 시작합니다. 쉬운 것 같지만 어떤 말을 써야 할지 고민이 되는데요, 정답은 ‘오랜만에’가 맞는데요, ‘오랜만’은 일이 있고 나서 시간이 한참 지난 후를 뜻할 때 쓰이는 표현입니다.
그렇다면 ‘오랫만에’은 어떤 표현일까요? ‘오랜만’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시간상 긴 시간을 뜻하는 단어로 사용될 때, ‘오래’와 ‘동안’이 결합해 ‘오랫동안’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예를 들면, ‘나는 선배를 혼자서 오랫동안 좋아했어’라고 쓸 수 있겠죠? :-)
팀플 과제 준비를 하나도 못해서 (어떻게 / 어떡해).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말이고, 잘 못 사용하는 경우가 참 많은 표현인데요, 심지어 위의 표현 말고도 ‘어떻해’라고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는데, 우선 이 표현은 아예 틀린 내용이니 머릿속에서 아예 지우기로 해요!
‘어떻게’와 ‘어떡해’는 모두 표준어이지만, 쓰임새가 다르죠. ‘어떻게’는 ‘어떠하다’의 줄임말에서 나온 부사입니다. 예를 들면, ‘어떻게 된 거야?’, ‘요즘 어떻게 지내?’등으로 사용할 수 있죠.
‘어떡해’는 ‘어떻게 해’의 줄임말로 주로 서술어의 기능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나 어떡해?’, ‘이럴 때 어떡해야 좋을지 모르겠다.’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소리가 비슷하다고 해서 쓸 때도 아무렇게나 혼용해서 쓰지 말고, 꼭 구분해서 올바르게 쓰기로 해요!
(첫번째 / 첫 번째)로 발표할 사람?
첫 번째와 첫째? 어떤 표현이 정확한 뜻일까요? 관형사 ‘첫’과 차례나 횟수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 ‘번째’를 사용하는데요, 순서가 가장 먼저인 차례를 나타내고 싶을 때는 ‘첫째’는 한 단어니 붙여서 작성해야 합니다. 따라서 첫 번째, 두 번째, 이렇게 관형사로 ‘첫’이 사용될 때는 반드시 띄어쓰기를 해줘야 합니다. 예를 들면, 첫 월급, 첫 해외여행과 같이 사용할 수 있겠죠?
다만, 첫째와 같이 처음을 뜻하는 단어인 ‘첫’은 접두사로 보면 됩니다. 예를 들면, ‘첫째, 첫사랑’과 같은 의미로 볼 수 있죠!
제가 일단 (한번/ 한 번) 해보겠습니다.
앞서 설명한 첫 번째와 첫째의 규칙과 유사한 경우인데요, 이 단어에도 다른 2개의 뜻으로 쓰일 수 있죠! 차례나 횟수를 나타내거나 ‘딱 한 번’이라는 뜻으로 횟수를 나타내게 될 때는 ‘한 번’으로 사용합니다. 그러나 예문에서와같이 ‘기회가 있을 때, 시험 삼아 시도할 때, 어떤 행동이나 상태를 강조할 때’에는 ‘한번’으로 붙여서 씁니다.
내 롤모델을 꼭 한번 (보고싶다/ 보고 싶다).
‘~하고 싶다’에서 쓰이는 보조용언 ‘싶다’는 본용언에 붙여 쓰는 것이 허용되지 않은 보조 용언이기에 ‘보고 싶다’로 띄어 쓰는 게 맞습니다. 예를 들면, ‘보여주고 싶다’, ‘하고 싶다’와 같이 보조용언이 있는 경우, 띄어쓰기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이니 잊지 마세요!
한글날을 맞아 올바른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알아보았는데요, 한글을 매일 사용하지만, 줄임말을 쓰거나 소리 나는 대로 글을 쓰는 등 새로운 신조어를 사용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해 비속어나 잘못된 맞춤법 등 한글이 파괴되는 것은 분명 우리가 다시 한번 생각해볼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한글날을 맞아 한글의 우수성을 다시 되새겨 보는 시간 되시기를 바랍니다.
필름 카메라, 내가 직접 찍어봤다! 사진으로 느끼는 아날로그 감성 (0) | 2017.10.20 |
---|---|
[서울 가볼 만한 곳] 41년만에 문화를 가득 채우고 돌아온 문화비축기지 (0) | 2017.10.13 |
테마 별로 만난다! 추석 명절 볼만한 추천 영화 (0) | 2017.10.02 |
[셀프인테리어] 분위기 있는 나만의 북유럽 스타일 무드 조명 만들기 (2) | 2017.09.25 |
[가을 여행] 당일치기로 가볍게 떠나자! 도심에서 즐기는 캠핑 (0) | 2017.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