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건설부문 블로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삼성물산 건설부문 블로그

메뉴 리스트

  • HOME
  • News & notice
  • Story & people
  • Trend & life
  • Global futuremark
  • 삼성건설 홈페이지
  • admin
  • write
  • 분류 전체보기 (1575)
    • Trusted Builder (627)
      • 회사 이야기 (559)
      • 물산人터뷰 (68)
    • Story Builder (498)
      • 건설 플러스 (296)
      • 쉽게 배우는 건설 (202)
    • Life Builder (450)
      • 생활 플러스 (423)
      • 생활 속 안전 (27)

검색 레이어

삼성물산 건설부문 블로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아파트

  • [아파트 엘리베이터] 네모난 공간에 숨겨진 서프라이즈한 승강기 이야기

    2016.06.20 by 삼성물산건설부문

  • [삼성물산] 래미안 강남힐즈&래미안 영통 마크원 디자인의 우수성을 인정 받다!

    2014.12.05 by 삼성물산건설부문

  • [삼성물산 대학생기자단] 주거환경의 트렌드를 제시하는 래미안 주거성능연구소 견학

    2014.08.12 by 삼성물산건설부문

  • 삼성물산, 한강변 최고층 이촌 렉스아파트 스카이브릿지 연결

    2014.07.24 by 삼성물산건설부문

  • 강북의 타워팰리스, 삼성물산 래미안 용산 모델하우스 7월 4일 오픈

    2014.07.07 by 삼성물산건설부문

  • [건축은 컨텐츠다 5편] 33평형, 한국인의 표준 삶

    2011.07.26 by 삼성물산건설부문

  • [Work Story]우리집의 수명은 얼마나 되나요?

    2011.06.03 by 삼성물산건설부문

[아파트 엘리베이터] 네모난 공간에 숨겨진 서프라이즈한 승강기 이야기

20세기 기계 문명의 최고의 발명품을 무엇일까요? 많은 발명품들이 있겠지만, 그 중 하나로 엘리베이터를 꼽고 싶습니다. 엘리베이터라니, 조금 의아하실 텐데요. 우리를 수직적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게 한 점을 생각해보면 충분한 자격 있다는 생각이 드실 겁니다. 엘리베이터는 주거문화에서도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주거 문화의 중요한 요소로 당당히 자리잡은 엘리베이터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엘리베이터 안에 숨겨진 서프라이즈한 이야기들! 궁금하신가요? 그럼 지금 바로 출발해보겠습니다. X-D 이동 수단으로서의 엘리베이터 앞서 얘기 했듯이 엘리베이터 덕분에 우리는 자유롭고 편리하게 수직적 이동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앞다투어 지어지고 있는 초고층 빌딩들 역시 엘..

Story Builder/쉽게 배우는 건설 2016. 6. 20. 14:01

[삼성물산] 래미안 강남힐즈&래미안 영통 마크원 디자인의 우수성을 인정 받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래미안 강남힐즈, 래미안 영통 마크원이 '2014 굿 디자인 어워드(Good Design Award)'에서 우수디자인상품 부문 본상을 수상했습니다! 굿 디자인 어워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디자인 선정 제도로 산업디자인진흥법에 의거하여 상품의 외관, 기능, 재료,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디자인의 우수성이 인정된 상품에 굿 디자인 마크를 부여합니다.그 중 상위 성적의 상품에는 대통령상을 비롯한 본상을 수여하는데요. ▲ 래미안 영통 마크원 출입구 이번 2014 굿 디자인 어워드에서 래미안 강남힐즈와 래미안 영통 마크원은 공공환경부문에서 단지 내 조경과 익스테리어 디자인의 연계, 자연친화적인 디자인 등으로 높은 점수를 받아 본상을 수..

Trusted Builder/회사 이야기 2014. 12. 5. 09:38

[삼성물산 대학생기자단] 주거환경의 트렌드를 제시하는 래미안 주거성능연구소 견학

본격적인 여름으로 접어든 7월 25일, 삼성물산 건설부문 대학생기자단은 다같이 특별한 곳을 방문했습니다. 그곳은 바로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래미안 주거성능연구소'! 삼성물산은 완벽한 주거공간을 만들기 위해 지난 2012년 래미안 주거성능연구소를 설립했습니다. 이 연구소에서는 단열과 소음, 방수, 환기, IT 등 5대 주거 성능에 대한 다양하고 심도깊은 실험이 펼쳐집니다. 이날 삼성물산 대학생기자단은 다함께 래미안 주거성능연구소를 찾아 더 나은 래미안을 만들기 위한 삼성물산의 노력을 살펴봤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삼성물산 건설부문 대학생기자단의 래미안 주거성능연구소 탐방기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우선 연구소 입구에는 실험실의 층별 안내도가 벽에 걸려있습니다. 각 층에 위치한 연구소 소개와 사진..

Trusted Builder/회사 이야기 2014. 8. 12. 10:28

삼성물산, 한강변 최고층 이촌 렉스아파트 스카이브릿지 연결

삼성물산이 서울 한강변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이촌 렉스아파트' 3개 동에 스카이브릿지 2기를 성공적으로 연결했습니다! 지난 22일 삼성물산은 이촌 렉스아파트의 17층, 지상 57미터 높이에 두 번째 스카이브릿지를 설치했습니다. 렉스아파트는 최고 높이 56층, 지상 200미터에 달하는 초고층 아파트 3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스카이브릿지를 통해 3개의 동끼리 지상을 거치지 않고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17층에는 향후 피트니스 센터와 게스트 하우스, 스카이라운지 등 여러 가지 커뮤니티 시설이 들어설 예정인데요. 입주민들은 스카이브릿지를 통해 3개 동을 오가며 다양한 시설들을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전체 460가구 규모인 이촌 렉스아파트는 기존 동부이촌동 렉스아파트를 재건축하는 프로젝..

Trusted Builder/회사 이야기 2014. 7. 24. 15:36

강북의 타워팰리스, 삼성물산 래미안 용산 모델하우스 7월 4일 오픈

삼성물산의 고품격 주상복합 '래미안 용산'이 7월 4일 모델하우스를 오픈했습니다! 일찌감치 서울 강북지역을 대표할 최고급 주택으로 각광받으며 많은 이들의 관심을 모았던 래미안 용산이 마침내 공개됩니다. 삼성물산은 4일 서울 송파구 문정동 래미안 갤러리 5층에 래미안 용산의 모델 하우스를 오픈했는데요. 이전까지의 고급주택 이미지와는 다른 산뜻한 느낌의 래미안 용산을 확인하려는 사람들로 모델하우스가 붐비고 있습니다. 앞서 삼성물산은 래미안 용산의 완성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당초 5월 분양이었던 일정을 늦춰가며 인테리어 컨셉 및 마감재 등에 공을 들였는데요. 그런 만큼 래미안 용산에 고급 주택 수요자들이 거는 기대도 남달랐습니다. 자 그럼, 서울 용산의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각광받는 래미안 용산에 대해 알아볼..

Trusted Builder/회사 이야기 2014. 7. 7. 17:06

[건축은 컨텐츠다 5편] 33평형, 한국인의 표준 삶

제 5편 - 33평형, 한국인의 표준 삶 # 33평 스케치 아파트는 두개의 가치가 오묘하게 통합되었다. 1) 아파트는 돈 이다. 환금성과 안전성이 가장 중요하다. 2) 아파트는 삶의 그릇이다. 쾌적함과 편리함이 가장 중요하다. 아파트는 대체로 건축가들이 환영하는 디자인 대상이 아니다. 우선 외관이 밋밋해서,아름다운 형태를 이뤄 내기가 쉽지 않다. 미적 성취를 가장 중요시 하는 건축가들로서는 웬만해서는 눈에 띄지 않는 아파트를 선뜻 수행하고 싶지는 않아 한다. 그리고 다양한 조건들의 조정이 만만치가 않다. 법규가 까다롭고, 수많은 거주자들이 내놓는 요구조건들을 수용해야만 한다. 헌데 아이러니다. 이런 비호감? 아이템이 지금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주거형식이 되었다. 아파트의 숨은 비밀을 열어 보자. # 아파트..

Story Builder/건설 플러스 2011. 7. 26. 10:01

[Work Story]우리집의 수명은 얼마나 되나요?

내집마련을 위해 부동산 정보를 보다보면, 개포동 아파트는 낡아서 집값은 비싸지만, 전세는 한~참 싸다고도 하고, 재건축 승인을 받니, 리모델링을 추진하느니, 이런 말들을 들으면, 대체 아파트는 수명이 언제까지일까?라는 질문을 받기도 합니다. 식품이나 제조품 같은거는 유통기한이 수명일테고, 가전제품이나 차같은거는 고장나서 쓸수 없거나, 수리비용이 구입비용보다 커지거나, 부품이 단종되거나했을때 수명을 다했다고 볼 수 있구요. 생물의 경우에는, 심장이 뛰는 동안을 일반적으로 수명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살고 있는 아파트의 수명은 언제까지로 보고, 얼만큼이나 될까요? 일반적으로 하는 말에, 콘크리트의 수명은 100년이라는 말을 합니다. 튼튼하기 때문에 백년도 충분히 버틸 수 있다는 말이겠..

Story Builder/건설 플러스 2011. 6. 3. 13:3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삼성물산 건설부문 블로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