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건설부문 블로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삼성물산 건설부문 블로그

메뉴 리스트

  • HOME
  • News & notice
  • Story & people
  • Trend & life
  • Global futuremark
  • 삼성건설 홈페이지
  • admin
  • write
  • 분류 전체보기 (1575)
    • Trusted Builder (627)
      • 회사 이야기 (559)
      • 물산人터뷰 (68)
    • Story Builder (498)
      • 건설 플러스 (296)
      • 쉽게 배우는 건설 (202)
    • Life Builder (450)
      • 생활 플러스 (423)
      • 생활 속 안전 (27)

검색 레이어

삼성물산 건설부문 블로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건축공방

  • [건축 스토리텔러] 쇼미더건축, 남다른 세계의 건축학교

    2020.03.23 by 삼성물산건설부문

  • [건축 스토리텔러] 쇼미더건축, 공방을 보여줘! 슈퍼 아틀리에

    2020.02.25 by 삼성물산건설부문

  • [건축 스토리텔러] 쇼미더건축, 프리츠커 건축상을 보여줘

    2020.01.31 by 삼성물산건설부문

  • [건축 스토리텔러] 쇼미더건축, 건축인 듯 건축 아닌 건축 같은 파빌리온

    2019.12.30 by 삼성물산건설부문

  • [건축 스토리텔러] 쇼미더건축, 랜드마크를 보여줘

    2019.11.29 by 삼성물산건설부문

  • [건축 스토리텔러] 쇼미더건축, 학교를 보여줘

    2019.10.30 by 삼성물산건설부문

  • [건축 스토리텔러] 쇼미더건축, 아파트를 보여줘

    2019.10.01 by 삼성물산건설부문

[건축 스토리텔러] 쇼미더건축, 남다른 세계의 건축학교

여러분은 건축가가 어떤 과정을 거쳐 전문적인 건축가로 성장하게 되는지 알고 계신가요? 대부분의 경우 대학교에서 건축이라는 학문을 접하며 발을 들여놓는데요. 오늘은 나름의 이유로 그 이름을 널리 알리고 있는 전 세계의 다양한 건축학교를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이 학교들의 건축과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치열한 경쟁을 거쳐야 하는데요. 건축가가 되는 특별한 첫 여정을 여러분들과 함께 살펴보면서 건축을 공유하고, 건축을 논하여 보고자 합니다. 건축학교에도 순위가 존재할까? 사실 전세계의 건축학교들의 순위를 세운다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나 학교 저마다 각기 다른 명성을 갖고 있다는 것은 다들 이해할 겁니다. 그렇다면 이 명성은 어디에서 기인하는 걸까요? 첫번째 기준은 학교가 '베테랑'이냐, 즉 ‘전문적’인가에서..

Story Builder/건설 플러스 2020. 3. 23. 12:20

[건축 스토리텔러] 쇼미더건축, 공방을 보여줘! 슈퍼 아틀리에

여러분은 ‘아틀리에’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비디오게임에도 등장하는 이 단어는 다양한 예술의 실험 장소이며, 화가, 조각가, 공예가, 건축가, 사진가 등의 작업장을 뜻합니다. 작업을 하는 곳이기 때문에 건축적으로는 북측의 채광이나 높은 천정고를 가진 공간으로 설계되곤 했습니다. 작가의 일상이 일어나는 공간인 만큼 작가의 분위기나 제작의 비밀을 알 수 있는 곳이기도 하지요. 혼자가 아닌, 여러 명의 작가가 조직화 되어 작업하는 ‘공방’도 아틀리에의 한 모습입니다. 오늘은 다양한 일들이 만들어지고, 고민되는 아틀리에를 통해 여러분과 함께 건축을 공유하고, 건축을 논해보고자 합니다. 아틀리에(Atelier)의 어원 아틀리에는 예술가의 작업실이나 공방을 뜻하는 프랑스 말이며, 영어의 스튜디오(Studi..

Story Builder/건설 플러스 2020. 2. 25. 11:00

[건축 스토리텔러] 쇼미더건축, 프리츠커 건축상을 보여줘

노벨상은 해마다 인류 문명 발전에 큰 기여를 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명실공히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상입니다. 문학과 영화 그리고 건축 분야에서도 노벨상 만큼의 권위를 자랑하는 상이 있는데요. 문학은 맨부커상, 영화는 황금사자상, 그리고 건축은 프리츠커상(Pritzker Architecture Prize)입니다. 프리츠커상은 2019년까지 19개국 42팀의 건축가들이 수상을 했는데, 수상 이유를 면면히 살펴보면 그 해의 건축의 방향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오늘 이 시간에는 프리츠커 건축상을 통해 여러분들께 재밌는 건축 이야기를 들려드리고자 합니다. 프리츠커상 수상자와 표면적 분석 프리츠커상 메달 (출처 : The Pritzker Architecture Prize) 프리츠커상은 1979년부터 매년 수여되었..

Story Builder/건설 플러스 2020. 1. 31. 11:00

[건축 스토리텔러] 쇼미더건축, 건축인 듯 건축 아닌 건축 같은 파빌리온

여러분은 파빌리온(pavilion)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파빌리온의 사전적 의미는 ‘박람회 등의 전시관이나 국가나 지방 또는 인간이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일시적인 특설 가건물 등(인테리어 용어사전, 2006)’입니다. 일반적으로 파빌리온은 건축물에 아름다움과 멋을 더하고, 다양한 역할을 하는데요. 이번 주제는 건축인 듯 건축 아닌 건축 같은 '파빌리온'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여러분들도 함께 건축을 공유하고, 건축을 논하여 보길 바랍니다! :) 파빌리온이란 무엇인가? 수정궁(Crystal Palace) 파빌리온은 라틴어로 ‘나비’라는 뜻의 ‘papilio’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처음에는 건축물의 부수적인 공간이나 연회장과 전망대처럼 즐거움을 공유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그러다 18세기 후반 산업혁명이..

Story Builder/건설 플러스 2019. 12. 30. 17:16

[건축 스토리텔러] 쇼미더건축, 랜드마크를 보여줘

어떤 도시를 방문하면 그 도시를 대표하는 건물들이 있습니다! 그 건물들은 흔히들 랜드마크라고부르죠. 그렇다면, 랜드마크 건축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오늘은 '랜드마크'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여러분들도 함께 건축을 공유하고, 건축을 논하여 보길 바랍니다! :) 랜드마크의 유래 랜드마크의 뜻은 무언가를 인지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사람이 주변 환경에서 장소를 떠올리며 위치를 머리속에 그릴 수 있게 해주는 모든 것이 포함됩니다. 랜드 마크의 LAND는 땅이라는 뜻이며, MARK는 표식이라는 뜻입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유명한 에베레스트도 랜드마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랜 옛날에는 땅의 경계를 표기하기 위해, 오래된 나무나 산 혹은 강과 같은 것을 표식으로 삼아 누군가의 영토임을 나타내었던 것이지요...

Story Builder/건설 플러스 2019. 11. 29. 10:30

[건축 스토리텔러] 쇼미더건축, 학교를 보여줘

학교는 우리 미래를 이끌어갈 아이들의 장소입니다. 뿐만 아니라 배움이 있는 곳을 학교라고 칭한다고 했을 때, 교육과 연관된 공간들도 학교라는 테마로 넓혀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번 주제는 '학교를 보여줘'입니다. 여러분과 함께 건축을 공유하고, 건축을 논하여 보길 바랍니다. :) 학교의 기원 교육기관인 학교의 기원은 뜻밖에도 '체육관'입니다. 고대 그리스에서 군인을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이 되었습니다. 독일에서는 아직도 학교를 뜻하는 말로 '김나지움(Gymnasium)'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지요. 이후에 다양한 수업과정이 만들어지면서, 학교는 공공 교육의 정착에 큰 기여를 하게 됩니다. 건축으로 보는 학교 한국의 아이들은 아주 어릴때부터, 공공 교육과 밀접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5세 이전에는..

Story Builder/건설 플러스 2019. 10. 30. 13:30

[건축 스토리텔러] 쇼미더건축, 아파트를 보여줘

안녕하세요. 이번에 삼성물산 건설부문 블로그에 건축을 주제로 참여하게 된 건축공방의 심희준, 박수정 건축가입니다. 우리가 활동하는 모든 공간은 건축과 맞닿아 있고, 건축에 대한 고민들도 확산되고 있지요. ‘쇼미더건축’으로 여러분과 함께 건축을 공유하고, 건축을 논하여 보길 바랍니다. 공동체 주거의 대표적 건축 : 아파트 오늘의 주제는 바로 아파트에 관한 것입니다. 아파트는 공동체 주거의 대표적인 건축 프로그램인데요. 1800년도 후반, 산업혁명과 함께 사회적으로 중산층이 늘어나면서 이들이 살 수 있는 건축으로 아파트가 시작되었고, 유럽에서는 르 코르뷔지에의 빈민 주거 대안으로 1922년에 시작되어, 일부 아파트가 건설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이후에 이 지역이 빈민가가 되는 사회적 문제점들이 나타나면서 아파..

Story Builder/건설 플러스 2019. 10. 1. 13:3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삼성물산 건설부문 블로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