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회사생활을 시작했다는 이유로
근무할 당시의 연애담을 얘기달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저의 해외근무기간은 2000년에서 2005년 7월 ,
집사람을 처음 만난 건 2005년 8월..
달콤한 낭만적인 얘기를 써내려갔다간
집사람이 알면 한번 버럭 하실테고,
삐지신 분 달래는데 적지않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것이고...
아무일도 없었다고 하면 저를 아는 모든 분이
저를 거짓말쟁이로 몰아갈 것이고..
뜨거운 감자를 덥석 입에 물고서는 ㅎㅎㅎ
얘기도 그렇지만, 4세대 LTE 서비스가 시작되는
2011. 7. 1일에 당시의 해외생활을 얘기하자면
128K/bps 인터넷 속도가 제일 빠르고 고가인
서비스를 체험하던 무렵이라
Unitel이 인터넷 전화 상용서비스를 막 시작했지만,
울림 및 연결상태가 좋지 않아 사용불가하던....
그래서 한달에 전화비용으로 백만원을 넘기던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 얘기를 하자니...
제 몸에서 퀘퀘한 곰팡이 냄새가 자꾸 나는 듯 해서
킁킁거리게 된다는...
전화비도 전화비이지만, 휴가를 내서 한국에 1박 2일로
와서 부모님에게 알리지도 뵙지도 못하고 돌아갔던
철없던 일도 있었습니다. (실제 1박 2일이지만, 체류시간은 20시간 남짓)
Time이 부족해서 Money로 메꿀 수 밖에 없었던...
선배님들 얘기를 들으면
'난 선본지 세번만에 결혼했다.'
'실제로 주 7일 근무를 해서 이 사람이 아니면 결혼하지
못할 거 같아서 매달렸다.'라는 얘기를 많이 하십니다.
ㅎㅎ 사실 해외 근무자라서 건설회사 작원에게만 해당되는
얘기는 아닌 듯 하고, 자기 일에 열정을 가지고 있어서
게다가 긴박한 상황이 계속되는 경우라면
'시간을 Money로 메꾸실 수 밖에 없을 듯 합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함께하는 시간이지만...
그 시간에 대한 이해를 요청하기 위해서......
하지만 그 바탕에는 무엇보다도 신뢰와 사랑은 필수일 겁니다. ㅎㅎ
P.S : 2005년 7월에 귀국하고 나서, 본사에서 근무하게 되었지만
지금의 집사람도 서울에 있었지만
업무 특성상 출장이 잦아 해외근무와 별다른 상태가 지속되었던 같습니다.
그런데, 집사람은 가끔.... 우리가 연애를 오래하고 애틋한 감정을
지속할 수 있었던 이유는 서로 해외 출장이 잦아 서울에서 볼 수 있었던
짧은 시간을 기다리는 설레임과 헤어지는 아쉬움의 깊이가
깊을 수 있었다고 인상을 쓰곤 합니다. ㅎㅎㅎㅎ
건설녀 1년차. 난 누군가 또 여긴 어딘가 (5) | 2011.07.08 |
---|---|
삼성물산, 2011년 3대 국제 디자인 대회석권 (1) | 2011.07.05 |
[카툰] 태양을 피하는 방법 (3) | 2011.06.10 |
삼성물산, 1억 5077만달러 싱가포르 매립공사 수주 (1) | 2011.06.08 |
회사로 떠나는 가족 소풍,삼성물산 "Open House" (2) | 2011.06.01 |